본문 바로가기

· 영화 리뷰

[영화 후기] 82년생 김지영 : 젠더갈등이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를 고민해보게 하는 영화

82년생 김지영

 

최근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는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보았습니다. 주로 남성측에서는 젠더 갈등을 부추기고 페미니즘 영화라며 거부감으로 비난을 일삼는 분들이 있더군요. 소설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는 젠더 간의 차별을 위주로 설명하기 보다는 우리 사회에는 아직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영화이기에 모든 상황을 설명할 수는 없겠지만 내러티브는 비슷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남들처럼 대학을 나와 기획 회사에 취직했지만 결혼 후 육아에만 전념하게 된 주인공은 경력단절을 겪고 있습니다. 제사 때는 시댁에 하루 일찍 내려가서 시어머니와 함께 제사상 준비를 하느라 쉴 틈없이 바쁘죠. 전 팀장이 새로 회사를 차렸다는 소식에 연락을 해서 다시 일할 기회를 얻었지만 시어머니의 반대와 베이비 시터를 구할 수 없는데다 자신의 월급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울 것 같아 포기하고 맙니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바로보는 시선 때문입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 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도 육아를 돌보는 여성 사원들을 걸림돌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육아휴직 조차 짤리지 않을까 걱정하며 눈치를 봐야 하는 실정입니다. 육아휴직 제도가 없거나 사내에 어린이집을 운영하지 않는 곳에 다니는 대다수의 직장인들에겐 선택 사항이 없습니다. 특정 누구를 꼬집지 않더라도 사람들의 인식도 별반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아이를 데리고 나온 엄마가 조금만 실수를 저지르거나 민폐가 되면 바로 맘충으로 비난을 받습니다. 여전히 육아든 가정일이든 여성이 해야 할 역할이 더 많습니다. 누군가는 극단적인 모습만을 담았다고 말하지만 대부분은 뉴스나 사회고발 프로그램에서 나왔던 것들입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일이고 그런 점들을 영화에서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젠더 갈등이나 영화 내용에 대한 비난을 하며 일반화 시키지 마라. 극단적이고 페미니즘 영화라고 말하기에 앞서 과연 우리 사회가 아이를 키우며 맞벌이 하기에 좋은 사회인지 되물어야 할 때입니다. 가뜩이나 집값이 올라서 외벌이(고연봉 직장인, 사업가 제외)로는 아이를 양육하기 힘듭니다. 제도를 만들어놔서 육아휴직을 쓰려면 눈치를 봐야하고 육아휴직 후에 직장에서의 차별 대우도 걱정해야 합니다.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면 직장 내 어린이집을 갖춘 회사도 드뭅니다.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었지만 아직도 야근을 하며 늦게 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많습니다. 현실적으로 봤을 때 아이를 낳게 되면 그때부터는 아이를 돌봐줄 기관이나 사람이 필요해지는데 구하지 못하면 대개는 여성쪽에서 직장을 포기합니다. 연예인처럼 몇 년간 아이를 돌보다가 제기할 수 있는 직종을 가진 분들이 얼마나 될까요?


<82년생 김지영>은 이렇게 사회의 문제점들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사회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니까 불만갖지 말라고 볼 것이 아니라 개선점은 무엇이고 아이 양육을 위한 시스템에 문제는 없는지 짚어봐야 합니다. 회사에서도 양육에 따른 경력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도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저출산과 초고령화 사회 걱정을 할 것이 아니라 누구나 아이를 낳아도 경력단절 없이 사회생활을 계속 할 수 있는 건전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선진국 예를 들며 아이 양육에 대한 해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어린이집과 같은 유아시설을 회사 내에 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상대방 입장에서 고민해보고 무엇이 힘들고 어려운 지 공감해주는 것만으로도 더 나은 사회가 되리라 봅니다.


 

82년생 김지영
국내도서
저자 : 조남주
출판 : 민음사 2016.10.1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