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평(Since 2013 ~)

[서평] 인문학의 거짓말 :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타락한 인문학, 빈곤한 인문학


유독 한국 사회는 인문학에서도 편중된 시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는 교과서로부터 이어져 고착된 듯 싶다. 지배계층의 역사만을 추종하며 다른 시각과 관점을 배재하면서 기계적으로 답을 외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넓고 다양하게 역사를 바라보지 못했다. 그걸 깨우쳤던 것이 <책의 정신>이었는데 이 책에서도 유사한 선상에서 우리가 숭상해 온 인문학을 낱낱이 비판하고 있는 책이다. 사람은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하지만 이제껏 우리가 믿어 온 진실들이 사실은 잘못 알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의문을 왜 품지 못하고 있었을까? 그리스 철학자 중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아리스톤텔레스는 노예제를 주장하며 민주주의를 반대해 온 인물들이다. 그럼에도 시중에는 이들을 다룬 책들이 왜 그렇게 많은걸까?


저자의 모든 주장에 다 동의할 수는 없어도(특히 종교에 관해서는) 인문학을 지배층에서 잘못 인용할 경우 하나의 논리로 피지배계층을 권력의 도구로 쓸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일례로 플라톤의 <국가>라는 책으로부터 파생된 우생학이 대표적인데 한창 제국주의가 지배했던 시대에 통했던 논리다. 나치스는 이 우생학으로 유대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해 대대적인 학살을 감행한 바 있다. 고전은 무조건 진리일거라는 맹신보다는 그 고전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히 알고 있으면 사실은 사람을 계층으로 구분하여 차별과 배제한 인문이었다. 저자가 주장한 것은 명확하게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민주적인 모든 것은 인문이라고 지칭할 수 없다.


꽤나 두꺼운 책이지만 각 꼭지별로 읽게 되면 그 나름대로 집중하면서 읽게 되는 책이다. 우리가 모르고 있거나 잘못 알고 있던 사실에 대한 깨우침을 얻을 때는 호기심이 왕성하게 일어서 내가 믿어왔던 것에 의문을 품게 한다. 인문학은 어렵고 고리타분하다고 느낄 지도 모르겠다. 워낙 시중에는 인문학을 바로 알자는 책들이 무수히 유행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으니 식상하다고 느낄만도 하다. 그럼에도 이 책은 인문학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로 알자는 취지로 저자가 쓴 책이다. 한국 사회의 학문은 너무 한 쪽으로 편중된 경향이 없잖아 있다. 프로이트가 잠식했던 심리학 분야에서 기시미 이치로를 통해 아들러 심리학이 알려졌듯 이 책을 통해 인문학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던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