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화를 닮은 캘리그라피와 짤막한 글귀가 이 책의 여백을 채우고 있다. 캘리그라피는 많이 들어봤어도 수묵캘리그라피를 직접 보니 은은한 색감이 무척이나 편안하게 해주었다. 저자가 정의를 내린 수묵캘리그라피란 글씨와 그림의 조화를 말하며 자유롭고 조형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 캘리그라피였다면 감성적인 그림과 이야기를 더해 어우러진 모습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고 한다. 서예예 어느 정도 조예가 깊어야 저자와 같은 하나의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캘리그라피에 수묵화가 조화를 이뤄 글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이 책은 글씨 보다는 그림이 많아서 한 시간도 채 안되서 다 읽을만한 양이다.
갤러리에서 작품을 감상하듯 오랫동안 깊이 있게 들여다봐야 글의 의미가 가슴에 박힌다. 천천히 음미하면서 곱씹어야 하는 글이다. 빠르게 넘길 때는 보이지 않았던 깊은 뜻이 내 안으로 들어온다. 마음이 착하지 않다면 볼 수 없다. 수묵캘리그라피는 그런 의미를 갖고 있다. 글과 그림이 함께 만나야 빛을 발하는 것이다. 요즘은 캘리그라피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많다. 정형화되지 않은 방향으로 흘린 붓 하나하나마다 작품이고 마음을 이끈다. 서예를 제대로 배운 적은 없지만 페이지마다 내 손 안의 갤러리 작품이다. 일부러 여백을 비워둬서 그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빠르게 습득해야 하는 이 시기에 알려준 느림의 미학이다.
책 뒷표지를 보면 저자의 수묵캘리그라피 강연 중 이런 말이 나온다. "물과 먹은 본디 하나다. 그래서 수묵은 자연스럽다. 그 자연스러움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 ... 수묵캘리그라피로 하나된 우리의 시간, 우리의 길, 점점 깊어질 것입니다." 그렇다.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수묵은 자연을 닮아있다. 인위적이지 않고 붓에 담긴 손길의 그 떨림은 우리의 시간과 길을 점점 깊어지게 만들어줄 것이다. 그래서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잊혀져가는 전통에 현대적인 캘리그라피가 만나 다시 우리 곁으로 가까이 다가온 것 같아 기분 좋게 읽은 책이었다.
'· 서평(Since 2013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내가 찾은 평생직업 인포프래너 : 월급을 몇 번이나 더 받을 수 있을까? 회사 그만두면 뭐 먹고살지?|그렇다면, 수십 년 남은 제2의 인생은 어떤 직업으로 살아야 하는가? (0) | 2018.04.28 |
---|---|
[서평]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여행 : 양정훈 여행수필 (0) | 2018.04.24 |
[서평] 애프터 비트코인 : 블록체인 3.0 시대와 디지털화폐의 미래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