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평(Since 2013 ~)

[서평] 도시를 걷는 시간 : 소설가 김별아, 시간의 길을 거슬러 걷다



2018년 3월 기준으로 기념 표석이 316곳이 된다고 한다. 서울에서만 이렇게 되는데 지방까지 통계를 잡으면 사람들이 모르는 곳에 있을 기념 표석은 또 얼마나 많을까? 기념 표석은 돌 위에 새긴 자리 못같은 역할이라 애써 그 자리에 서서 헤아리는 사람을 찾아보기 드물다. 관광 명소를 찾는 사람들도 주변 경관만 둘러볼 뿐 일일이 읽어보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 수많은 인파들이 오가는 길 한복판에 덩그러니 놓인 기념 표석. 그 무수한 세월을 거치며 지금은 사라졌지만 기록으로 남아있는 이름을 소설가 김별아는 시간을 거슬러 기억을 복원해낸다. 뭇 사람들은 의아해 할지도 모른다. 역사에 조예가 깊은 학자나 역사 연구에 매진한 선생도 아닌 문인이 역사를 더듬는 작업을 한다는 것이. 그런데 우리도 별반 다를 것이 없다. 기념 표석은 그 자리를 지키고 있어도 관심을 두거나 깊이 들여다보지 않는다. 누가 일일이 표석만 남아있는 그 곳까지 힘들여 찾아가보겠는가?

이 책 <도시를 걷는 시간>을 읽으면서 감명 받은 점은 기억에서 잊혀졌을 그 흔적들을 되새길 수 있었다는 점이다. 생생한 역사의 증언을 통해 을지로입구역 5번 출구에 위치한 장악원에서 영화 '왕의 남자'에 등장하는 공길이가 왕실 행사를 위해 부단히 연습하던 모습이 그려진다. 광대인 그는 나례 의식 중 하이라이트인 화극이라는 연극에서 광대놀이를 하며 임금 앞에 춤과 노래로 직언을 하는 그 광경이 펼쳐진다. 어쩌면 책에서 알려준 기념 표석에 서서 잠시 눈을 감으면 역사의 한 장면이 그려질 것만 같다. 세종문화회관 오른편 2차선 도로 건너편에 있는 국호빌딩 앞 녹지 부근에 자리한 장예원 터 표석. 장예원은 조선시대에 노비 장부를 관리하고 노비 관련 소송을 담당하던 관청이었다. 임진왜란 중 임금은 종묘 사직과 신주를 왕자에게 떠넘기고 명나라로 망명할 생각을 하며 떠났는데 이를 지켜본 백성들은 임금을 원망하며 경복궁과 창덕궁, 창경궁에 불을 지른다. 신분제인 조선 시대 중 천민 중에서도 가장 하층인 백정들은 인간이 아닌 짐승 취급을 받으며 살아왔다. 이들이 왜선을 향해 뛰어든 이유는 뭘까? 평등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비참하게 살아가야 하는 삶에 대한 절망과 울분이 아니었을까?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꽤나 흥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혹여 길을 지나치다 기념 표석을 발견하게 되면 전보다는 다르게 관심을 가지며 보게 될 것 같다. 이제는 사라지고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지만 역사의 기록을 길어오는 작업을 통해 그 누구보다 생생한 증인이 되어주고 있다. 과거에 찍은 사진으로 밖에 만나볼 수 없어도 도시 곳곳에는 이 땅을 살아왔고, 삶을 살아냈던 조상들의 얼이 남아있다. 우리가 부르는 지명의 유례를 알고 나면 더 자세하게 모습이 그려진다.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고 모르는 상태에서는 단지 터가 있던 곳이지만 이렇게라도 알고 가면 전과 다르게 보인다. 서울에는 이렇게 많은 기념 표석이 있지만 분명 방치된 채 무관심을 견뎌내고 있는 곳도 있고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겐 눈길도 닿지 않는 곳에 서 있다. 소설가 김별아를 통해 살아난 시간의 흔적들을 읽어나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문화와 역사는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면서 역사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상상력을 끌어올 수 있고 더 생생하게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다. <도시를 걷는 시간>은 우리 역사가 애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아주 가까이 있었다는 걸 되새겨주게 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