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평(Since 2013 ~)

[서평] 지명이 품은 한국사 6 : 지명유래 서울 호남 편

반응형




여러모로 편집이 아쉬웠던 책이다. 글꼴이 여러개를 쓰다보니 내용이 쉽게 들어오지 않았다. 사진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들쑥날쭉한 행간과 여백은 책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요소이다. 편집디자인을 해본 적이 있어서 컨셉을 잘 정해서 편집을 했다면 지금보다는 더 눈에 잘 들어왔을 것이다. 서울과 호남의 지명유래를 담은 책인데 본래 지명은 어떻게 지어졌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다. 구청 소식지에도 지명에 대한 설명은 반드시 실리는데 다 이유가 있다. 나루는 수송수단 중 하나인 뱃길 중 거쳐가는 기착점을 의미하는데 일찍부터 한강은 광나루, 삼밭나루, 서빙고나루, 동작나루, 노들나루, 삼개나루, 서강나루, 양화나루 등이 개설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루터를 의미하는 도와 진도 흔히 쓰였다고 한다. 아직까지 남아있는 걸 보면 예전에 이 곳이 어떤 곳이었는지 예측할 수 있는 것이 재밌었다. 


한가지 놀라운 사실은 옛 지명의 변찬사다. 우리말식 지명을 많이 쓰던 것이 삼국통일 후 전국 대부분의 땅을 한자로 개악됐고 한자를 빌어 우리말식으로 땅이름까지 2차 한자화로 바뀌게 되었다는 것이다. 당시 당나라에서 쓰였던 2차한자화로 인해 주군현의 이름마저 변경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각종 관찬사서의 편찬이 활발해지면서 마을 이름이 한자화됐다는 것이다. 그전까지 우리나라 고유의 땅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책으로 만들다보니 한자로 바뀌게 되는 바람에 많이 훼손되었다고 한다. 일제시대 때는 일제가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전국의 군읍면을 통폐합시키는 조치로 인해 일본식 지명을 붙이는 것도 한 몫 했다. 지금은 어떤가? 도로명 주소도 새주소이름으로 바꾸고 시행한다고 한다. 이래저래 굴곡이 많은 지명의 역사를 갖고 있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뀐 것보다는 지배를 쉽게 하기 위한 이유에서 변경된 것이 씁쓸하다. 


지명에는 역사적 인물이 등장하고 임금에 좌지우지해서 남기는 경우도 있다. 가령 국사를 걱정하기위해 오른 산봉우리를 후대에 국사봉이라고 지은 것만 해도 왕이 어디서 무얼 했는지도 영향을 미친다. 제목 그대로 지명을 통해 한국사를 들여볼 수 있었다. 적어도 내가 사는 곳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겠다는 반성도 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역사가 깊은 지명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지금 내 주변에 있는 지명은 어떻게 해서 지어지게 되었는지 궁금해하면서 볼 것 같다. 




지명이 품은 한국사. 6: 지명유래 서울 호남편

저자
이은식 지음
출판사
타오름 | 2013-08-30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사람의 이름에 뜻이 있듯, 우리가 부르는 지명 역시 뜻을 갖고 ...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