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HRD Professional' 블로그에 수년 째 글을 써오고 있는 전문 컨설턴트로서 피터 드러커의 경영철학을 자기계발과 조직의 성과 향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연결시켜서 쓴 책으로 요즘 경영추세인 개인의 성장인 곧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비전공자인 나로써는 경영이라는 말만 들어도 머릿속이 복잡해져오는데 이 책은 정형화된 조직 속에서 직장 생활을 해 본 사람들이라면 대부분 경험해봤을만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조직이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려면 일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쓰여진 책이다. 직장 생활을 한지도 나름 오래되었다고 생각하는데 내가 맡은 업무만은 확실하게 이끌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늘 해온 것 같다. 남들과의 차별화나 확실히 잘하는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지켜나가고 싶다. 자기계발이라는 것도 업무와 연계해서 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제일 좋은 선택일 수 있겠지만 그 범위를 한정짓고 싶지는 않다. 사람들마다 성격이나 장점이 다르듯이 자기계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능력을 키워나간다면 곧 기업입장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심리 때문이다.
인재육성이라는 말을 예전부터 많이 들어온 것 같다. 인재육성이 원활할려면 조직의 구조가 건전한가 아니면 수동적이냐에 따라 엇갈리는 듯 싶다. 회사에 속하는 직장인이라면 본인이 맡은 업무를 수행하고 처리할 때 효과적으로 밀고 나갈 수 있느냐이다. 업무 능력도 키우면서 주변 동료들과도 모나지 않게 지내는 것도 필요하다. 제목을 이것저것 붙이다보니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는 않는다. 무엇을 설명하려고 하는지는 알겠는데 피터 드러커가 등장하고 리트윗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아마도 저자는 피터 드러커의 경영철학을 회사 내 조직 속에서 적용시키길 원했을 듯 싶다. 인재경영을 목적으로 리트윗을 하면서 동반 성장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조직이라고 봤다. 조직에 몸 담다보면 이래저래 부딪히는 수만가지 일들이 발생한다. 개개인만의 특성도 다를 뿐더러 본인과 잘 맞는 조직문화인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우리나라 조직문화의 특성에 녹여들 수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수직적인 구조가 아닌 수평적인 구조로 바뀐다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듯 싶다.
이 책은 인사 담당자나 자신을 끊임없이 계발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방향으로 역량을 키워가야 하는지에 대해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이 실려있다. 이미 다 아는 얘기들일 수 있겠지만 직접 현실 속에서 실천하는 건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직장생활에 몸담고 있는 나로서는 배울 점들이 많은 책이었다.
'· 서평(Since 2013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어느 멋진 날 : 나만의 특별한 셀프웨딩촬영 (0) | 2014.12.21 |
---|---|
[서평] 유럽을 여행하는 아주 특별한 방법 : 히치하이킹으로 유럽의 민낯을 만나다 (0) | 2014.12.19 |
[서평] 잘 속는 사람의 심리코드 : 20년 베테랑 검찰수사관이 간파한 사기와 사기꾼에 당하지 않는 법 (0) | 201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