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교육 시장을 먹여살리는 건 다름아닌 영어일 것이다. 내가 자랄 땐 알파벳은 초등학교에서 배우고 영어 회화와 필기체 쓰는 법은 중학교에 시작했으며 회화와 문장은 별개라고 생각했다. 또래 친구들은 영어점수가 왜 좋게 나오는지 그때는 잘 몰랐다. 출제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문법을 알고 문장을 해석할 수 있어야 풀 수 있는 독해가 대부분이라 단어만 아는 것 외에는 수학공식처럼 문법의 비밀을 풀어야만 했었다. 이런 오해들로 인해 대학교에 진학해서도 온통 영어 잘하는 비결이 뭔지 알려주는 책만 읽은 것 같다. 그렇게 영어와 몇 차례 씨름을 해도 머리에 잘 남지 않은 채로 몇 년이 흐르는지 모르겠다.
지금 젊은 세대들은 사교육 열풍 덕(?)에 유치원때부터 조기 영어교육을 받고 유학까지 다녀온다. 자국어보다는 영어학습이 곧 권력이고 앞날을 환하게 비춰주는 마스터키인냥 영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오죽하면 영어마을까지 생겨났으며, 거리엔 성형외과 아니면 영어학원(토익, 토플)이 넘쳐난다. 당장 서점에 가도 당당하게 몇 블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영어다. 내가 배울 때는 참 딱딱하고 재미없게 배워서 영어의 장벽이 높게 느껴졌는데 이 책은 현직 영어강사가 티쳐맘 입장에서 바라 본 엄마들의 영어교육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해법을 알려준다. 과도화된 영어 사교육 속에서 문제점도 짚어보고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왜 필요한 지 정확하게 알려준다.
우리는 지금 남들의 기준, 남들이 어떻게 했다라는 것에 눈이 멀어 아이의 성향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우격다짐으로 닥달하느라 서로 생고생을 하는 건 아닐까? 엄마의 과욕이 오히려 아이가 일찍 학습에 흥미를 잃게 만들거나 남들처럼만 하면 알아서 잘하겠거니 하며 영어학원에 등록시킨 건지도 모르겠다. 아이의 인지적 성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나이는 10세부터라고 한다. 근데 우리는 아이가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나이 전에 영어두뇌를 장착시키겠다는 미명 아래 온통 영어에만 집중한 듯 싶다. 그렇다보니 서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재미있게 하나하나 배워날 수 있는데도 좋지 않은 기억을 심어준 것이다. 엄마의 불안함과 끊임없는 다른 아이와의 비교가 영어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길을 막아버린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생각해온 것들을 되짚어본 계기가 되었고 지금 내가 이루지 못한 것은 무조건 아이에게 억지로 강요한다고 해서 반드시 모두 잘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영어가 뭐길래 급한 마음이 앞서서 아이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는가? 영어는 우리 한글처럼 상대방과 소통하기 위한 언어일 뿐이다. 모국어도 아닌 외국어인데 네이티브 스피커와 어릴 때부터 소통하길 기대하는건가? 난 아이가 영어점수를 잘 받는 것보다는 재미있게 배웠으면 좋겠다. 환경과 방법은 알려줄 수 있어도 조급한 마음에 점수가 안 나온다고 화를 낼 그런 요량은 아닌 것 같다. 나중에 커서 외국인과 거리에서 만나도 의사소통만 되면 좋을 듯 싶다. 점수 잘 받는 기계보다는 정말 언어를 구사하여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을만큼의 교육을 받았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지금 아이를 두고 있는 모든 가정에서 꼭 읽어보길 권하는 책이다. 엄마가 모든 걸 교육시킬 수 없다. 그건 아이 눈높이에 맞게 영어교육 전문가에게 맡기면 된다.
'· 서평(Since 2013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0) | 2014.12.25 |
---|---|
[서평] 유스타 토익 어휘 1200 마스터 (0) | 2014.12.25 |
[서평] 하고 싶다, 쇼핑몰 : 결심한 사람들을 위한 인터넷 쇼핑몰 창업 교과서 (0) | 2014.12.21 |